맨위로가기

대만 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 해협은 중화인민공화국과 대만을 분리하는 해협으로, 과거에는 포르모사 해협, 복건 해협 등으로 불렸다. 지리적으로는 남중국해의 일부로 간주되며, 푸젠성과 대만을 잇는 수역이다. 역사적으로는 중국 본토와 대만 간의 무역 및 이주의 통로로, 명나라 시대부터 대항해 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전략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현재는 중국과 대만의 정치적 대립과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는 지역이며, 국제 해운의 주요 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해협 - 보하이 해협
    보하이 해협은 랴오둥반도와 산둥반도 사이에 있는 해협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은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해저 터널 건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중화민국의 국경 - 바시 해협
    바시 해협은 태평양과 남중국해를 잇는 해상 요충지로서 주요 해상 운송로이자 해저 케이블의 주요 경로이며, 영유권 분쟁과 군사적 통과가 잦아 해상 안보 협력이 요구된다.
  • 중화민국의 국경 - 루손 해협
    루손 해협은 필리핀과 대만 사이에 위치한 폭 250km의 해협으로, 바타네스 제도와 바부얀 제도를 포함하며, 거대한 해양 파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침략 경로, 현대의 지정학적 중요성, 자연 재해 및 환경 문제, 영유권 분쟁 등의 특징을 가진다.
대만 해협
지도 정보
타이완 해협 및 주변 지역의 수심 및 해류
타이완 해협 지역의 수심
명칭
한국어타이완 해협
한자 (번체)臺灣海峽 또는 台灣海峽
한자 (간체)台湾海峡
로마자 표기Táiwān Hǎixiá
광둥어Toi4-waan1 Hoi2-haap3
오어De-uae He-yah
민난어 (POJ)Tâi-ôan Hái-kiap
하카어Thòi-vân Hói-hia̍p
푸젠어Dài-uăng Hāi-hàp
기타 명칭타이하이 (台海): Táihǎi
타이완 해 (Taiwan Sea)
검은 도랑 (Black Ditch): 烏水溝 (Wū Shuǐgōu), O͘ Chúi-kau
지리
위치남중국해, 동중국해 (태평양)
최소 너비약 130km
기타 정보평균 너비: 약 180km
연안 국가

2. 명칭

대만 해협은 대만의 옛 이름에서 유래한 포르모사 해협, 해협 서쪽 해안을 이루는 푸젠성에서 유래한 복건 해협 또는 푸젠 해협으로도 불렸다.[1] 호키엔어와 객가어에서는 이 해협을 검은 도랑이라고 불렀다.

3. 지리

대만 해협은 푸젠성대만을 분리하는 수역이다. 국제 협정에서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지만, 남중국해의 일부로 간주되며, 북쪽 경계는 푸귀곶(대만 섬 최북단)에서 니우산섬을 거쳐 핑탄섬 최남단까지 이어진다.[2] 국제수로기구(IHO)는 대만 해협을 북태평양의 일부로 분류하며, 동중국해남중국해 사이의 경계를 정의한다.[2]

해협 전체는 아시아의 대륙붕에 위치하며, 대부분의 수심은 150m 미만이다.[2] 샤먼, 굴랑위, 핑탄, 진먼, 마쭈 등 여러 섬들이 있으며, 일부는 중화인민공화국(PRC), 일부는 중화민국(ROC)이 통제한다. 해협 내에는 ROC가 통제하는 펑후 제도도 있다. 펑후 제도 북쪽에는 40km에서 60km에 달하는 큰 해저 대지가 있다.[2]

팅을 제외한 푸젠성의 모든 강은 대만 해협으로 흘러든다. 대만의 강들은 매년 막대한 양의 퇴적물을 해협으로 운반하며, 이는 해협 남부에 두꺼운 퇴적층을 형성한다.[10]

대만 해협의 자연 조건에는 네 가지 특징이 있다.[2]

대만 해협의 자연 조건
특징설명
해협 양안의 차이서안(푸젠성)은 암석 해안, 복잡한 해안선, 많은 천연 항구, 300개 이상의 섬이 있다. 반면 동안(대만)은 평평하고 곧은 사질 해안이며, 넓은 갯벌, 사구석호가 발달하였다.
불규칙한 해저 지형얕은 수심(절반은 50m 이내)을 가지며, 서쪽은 얕고 중부와 북부는 깊으며 남동부가 가장 깊다. 해저가 해수면 위로 드러나 섬이나 갯벌을 형성한다. 남북 양 끝에는 심해로 통하는 수도가 존재한다.
대륙성 기후대륙의 영향으로 연교차는 약 12℃이다. 대만산맥의 우수 지역으로 연 강수량은 약 1000mm이다.
계절에 따른 해양 환경 변화해류, 파랑, 표층 수온, 염분 농도 등 수문 요소가 계절에 따라 뚜렷하게 변화한다.


4. 역사

대만 해협은 수천 년 동안 중국 본토의 한족 문화와 타이완 원주민을 분리했지만, 객가와 호로는 해협을 건너 무역과 이주를 했다. 대항해시대에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는 명나라 시대에 본토와의 무역 거점을 설립하기 위해 해협을 이용했으며, 이 기지는 중국 해안과 경쟁국의 무역선을 해적질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명나라 말기에 중국인의 대규모 이주가 시작되었고, 청나라 정복 기간 동안 정성공(국성)은 네덜란드인을 축출하고 1661년 동닝 왕국을 세워 옛 황실의 남명 계열을 대표하여 본토 재정복을 계획했다. 돌곤과 강희제는 중국 남부 본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고, 정성공은 해협을 건너 약탈하는 것에 국한되었다. 그의 손자 정계상은 1683년 펑후 전투에서 그의 제독이 패한 후 청나라에 항복했다.[2]

일본은 제1차 청일 전쟁 중 펑후를 점령하고 1895년 전쟁이 끝날 때 타이완을 장악했다. 해협 동쪽 절반에 대한 통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 남부 해안을 장악하는 데 사용되었다. 해협은 타이완의 일본 기지와 산업을 중국의 공격과 파괴로부터 보호했지만, 1943년에는 공중전이 섬에 도달했다. 1944년 타이완 공중전은 미국 태평양 함대에게 항공 우세를 제공했고, 그 후 일본 항복인 1945년까지 폭격이 계속되었다. 신속한 진격을 한 공산당 PLA의 1949년 진격은 중화민국 정부의 타이완 해협을 건너 퇴각을 유발했다.

중국 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은 제1차 타이완 해협 위기, 제2차 타이완 해협 위기, 제3차 타이완 해협 위기 등 여러 차례 단기간의 무력 충돌을 겪었으나, 대규모 군사 충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21세기에 들어 대만 해협 관계가 안정되면서 2008년 12월 15일 삼통이 수립되어 타이완 해협을 가로지르는 직항편, 해운 및 우편이 개시되었다.

2002년 5월 25일 중국항공 611편 추락 사고로 탑승자 225명 전원이 사망했다.[11] 2022년 2월 26일, 중국은 미 해군 제7함대의 알레이 버크급 유도 미사일 구축함이 타이완 해협을 통과한 것을 "도발적인 행위"라고 비난했다.[12]

2018년 이후 중국은 국제 해역이라는 개념이 타이완 해협에 적용된다는 것을 부인했다.[13] 중국은 해협 전체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지 않지만, "타이완 당국에 대한 지원과 본토에 대한 과시"로 간주하는 것을 규제하려고 한다.[14][15] 이러한 입장은 미국, 호주, 프랑스 관리들의 우려와 타이완의 반대를 불러일으켰다.[16][17][18]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는 프랑스 함정이 2019년 4월 7일 대만 해협을 항행한 것에 대해 “중국의 영해에 불법으로 진입했다”는 견해를 밝혔다.[27]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통일 작업의 일환으로, 2016년 시작된 5개년 계획에 해협 북부에 면한 핑탄섬을 경유하여 해저터널을 통과하는 구상을 담았다.[22]

2024년 9월 25일, 키시다 후미오 총리 대신의 지시로 해상자위대 호위함 사자나미가 자위대 발족 이래 처음으로 대만 해협을 통과했다. 이에 맞춰, 호주와 뉴질랜드의 해군 함정도 동 해협을 통과했다.[28]

4. 1. 중간선 (데이비스 선)

중간선은 1955년 미국 공군 장군 벤저민 O. 데이비스 주니어(Benjamin O. Davis Jr.)에 의해 대만 해협 중앙에 설정된 이론적인 선이다.[3] 미국은 양측에 이 선을 넘지 않도록 압력을 가했으나, 이는 암묵적인 합의였을 뿐 공식적 또는 법적 지위를 갖지는 못했다.[4] 중국은 중간선을 인정한 적이 없다.[4] 1958년 제2차 대만 해협 위기까지 대만의 항공기는 이 선을 자주 넘었다.[5] 1954년부터 2019년까지는 일반적으로 이 지역을 넘지 않았으며, 이 기간 동안 군용기는 세 번 통과했다.[4]

2019년, 대만 국방부는 중간선의 좌표를 북위 27°, 동경 122°에서 남위 23°, 동경 118°까지 이어진다고 밝혔다.[6]

2019년, 중국 인민해방군 전투기가 1999년 이후 처음으로 중간선을 넘었다.[7][8] 2020년, 중국 외교부는 중간선의 존재를 명시적으로 부인했다.[9][4]

5. 국제 관계 및 군사

대만의 하천 분포와 연간 토사량


대만 해협은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 간의 정치적, 군사적 대립의 장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통일을 추진하며 대만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는 반면, 중화민국은 실질적인 독립 국가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려 한다. 진먼다오, 마쭈 열도는 중화민국이 사실상 지배하고 있다.

유엔 해양법 협약은 영해의 폭을 12해리(약 22킬로미터)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23]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 해협이 국제 수역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미국 국무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24]

대만 해협에서는 양안의 해군·공군뿐만 아니라, 미국 해군, 프랑스 해군, 캐나다 해군의 군함도 통과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제3국 군함의 항행에 대해 항의나 경고를 하고 있지만,[25][26][27] 미국 해군은 “국제법이 허용하는 한, 어떤 장소에서든 비행·항행한다”고 하며, 프랑스 정부는 “사고도 반응도 없이, 대만 해협을 1년에 1회 정도 항행하고 있다”고 한다.[25][26][27]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는 2019년 4월 7일 프랑스 함정이 대만 해협을 항행한 것에 대해 “중국의 영해에 불법으로 진입했다”는 견해를 밝혔다.[27]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통일 계획의 일환으로 해저터널 건설 구상을 추진하고 있다.[22]

2024년 9월 25일, 일본 해상자위대 호위함 사자나미가 처음으로 대만 해협을 통과했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 대신이 정부 내에서 검토를 진행한 결과, 호위함 파견을 지시했다. 이에 맞춰, 호주뉴질랜드의 해군 함정도 동 해협을 통과했다.[28]

6. 자연

해협 양안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서쪽 푸젠성 해안은 대부분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선이 복잡하고 천연 항구가 많다. 또한 연안에는 300개 이상의 크고 작은 섬들이 있다. 반면 동쪽 대만 해안은 모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평하고 곧게 뻗은 해안에 갯벌이 넓게 분포하고, 연안에 사구석호가 많다.[21]

해저 지형은 매우 불규칙하다. 수심은 깊지 않아 해역의 절반은 50m 이내이다. 서쪽은 비교적 얕고, 중부와 북부는 비교적 깊으며, 남동부가 가장 깊다. 해저가 해수면 위로 드러나 펑후 열도와 같은 섬이나 갯벌을 형성하기도 한다. 해협의 남북 양 끝에는 각각 하나의 수도가 있어 심해로 통한다.[21]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연교차는 약 12°C이다. 대만산맥의 우수 지역에 위치하여 연 강수량은 약 1000mm이다.[21]

해류, 파랑, 표층 수온, 염분 농도 등 해양 환경의 각 수문 요소는 계절에 따라 뚜렷하게 변화한다.[21]

7. 경제

어부들은 오래전부터 대만 해협을 어장으로 이용해 왔다. 현대에는 거의 모든 종류의 선박이 동북아시아의 거의 모든 주요 항구를 오가는 통로로 이용된다.[19] 중국 어선들은 종종 대만 영해를 침범하여 어업을 하거나 모래를 준설하는데, 이로 인해 해양경찰청의 단속과 함께 압수, 몰수 및 벌금이 부과된다.[20]

대만은 해협에 대규모 풍력 발전 단지를 건설하고 있다.[21]

8.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Geography http://www.gio.gov.t[...] Government Information Office 2011-01-23
[2] 웹사이트 Sea depth map http://map.openseama[...]
[3] 웹사이트 Why Taiwan Will Be at the Center of the China-US Rivalry https://www.military[...] Military.com 2021-01-10
[4] 서적 The Taiwan Question in Xi Jinping's Era: Beijing's Evolving Taiwan Policy and Taiwan's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Routledge
[5] 웹사이트 zh:大公報文章:"海峽中線"應該廢除 http://www.chinarevi[...]
[6] 웹사이트 Taiwan Strait median line coordinates revealed https://www.taiwanne[...] 2024-02-13
[7] 웹사이트 Taiwan will forcefully expel PLA warplanes next time: Tsai Ing-wen https://www.scmp.com[...] 2024-12-04
[8] 웹사이트 China Ends ‘Median Line’ in the Taiwan Strait: The Start of a Crisis? https://nationalinte[...] 2024-12-04
[9] 뉴스 China's navy begins to erase imaginary Taiwan Strait median line https://www.reuters.[...] 2024-12-03
[10] 간행물 Flux and fate of small mountainous rivers derived sediments into the Taiwan Strait http://ntur.lib.ntu.[...] 2008-12-20
[11] 간행물 In-Flight Breakup Over the Taiwan Strait Northeast of Makung, Penghu Island, China Airlines Flight CI611, Boeing 747-200, B-18255, May 25, 2002 https://www.ttsb.gov[...] Aviation Safety Council 2017-02-11
[12] 뉴스 China says U.S. warship sailing in Taiwan Strait 'provocative'.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2-26
[13] 웹사이트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Wang Wenbin's Regular Press Conference on June 13, 2022 https://www.fmprc.g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2-08-16
[14] 웹사이트 Narr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the US over the Taiwan Strait https://www.iiss.org[...]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022-08-16
[15] 웹사이트 America and China spar over the Taiwan Strait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22-08-16
[16] 뉴스 Marles accuses China of breaching UN rules with Taiwan exercises https://www.smh.com.[...] 2022-08-05
[17] 웹사이트 MOFA solemnly reiterates that the Taiwan Strait constitutes international waters, refuting false claims made by Chinese officials during recent meetings with the US https://en.mo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hina (Taiwan) 2022-08-16
[18] 웹사이트 Strait belongs to all: top French officer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2-08-16
[19] 간행물 Optimization on Arrangement of Precaution Areas Serving for Ships' Routeing in the Taiwan Strait Based on Massive AIS Data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11-20
[20] 웹사이트 Coast guard should benefit from fines on intruders: lawmakers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0-11-10
[21] 웹사이트 Greater Changhua Offshore Wind Farms https://www.power-te[...] Power Technology 2020-11-10
[22] 뉴스 【米中争覇 台湾】中台統一へ 野望の架け橋/島を足場に 130キロ海底鉄道構想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7-20
[23] 웹사이트 海の法秩序と国際海洋法裁判所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9-06-21
[24] 뉴스 台湾海峡は「国際水域」米国務省報道官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06-28
[25] 뉴스 「米海軍のミサイル駆逐艦が台湾海峡を通過 中国を牽制か」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06-21
[26] 뉴스 「カナダ軍、台湾海峡を通過/対中関係、緊張激化も」 朝日新聞 2019-06-21
[27] 뉴스 「フランス軍艦、台湾海峡を航行 中国が抗議申し入れ」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9-06-21
[28] 웹사이트 海自護衛艦「さざなみ」が台湾海峡を初通過、岸田首相が派遣指示…軍事的威圧強める中国をけん制 https://www.yomiuri.[...] 2024-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